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3

정신역동적 관점,융의 분석심리학 1. 융(Carl Gustav Jung, 1875~1961) 융은 분석심리학의 창시자이며 스위스의 정신 분석자였다. 그는 정교하고 새로운 성격 이론을 만들었다. 그의 이론을 분석심리학이라고 하며 분석심리학은 정신의 두 분야인 의식과 무의식 간의 관계를 성립하고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무의식의 중요성에 대해 프로이트부터 영향을 받은 융은 집단무의식을 도입하여 무의식의 개념을 넓혀 자신의 체계적 이론을 만들었다. 융은 타고난 정신적 소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융과 프로이트의 견해 차이를 알면 융의 분석심리학 대해 이해할 수 있다. 프로이트는 리비도(libido, 삶 본능에 의해 나타난 정신에너지)를 인간의 생물학적 성에 제한한 에너지로 본다면 융은 리비도를 성뿐만 아니라 다른 삶에 에너지를 포함하.. 2023. 2. 9.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1. 아들러(1870~1937) 인간의 기본적 동기로서 자기완성 추구 또는 우월성 추구를 가정하였고 보상과 열등감은 아들러가 만든 개인심리학의 주된 개념이다. 아들러는 심리적, 내적, 주관적 원인 설명을 했으며 인간을 목적론적인 존재, 현상학적 존재, 전체적 존재, 사회적 존재로 보고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아들러는 상담을 통하여 잘못된 생활양식을 긍정적인 관점으로 대치하고 상담을 통해 개인이 보다 나은 생활양식을 개발하고 또한 사회적 관심을 발달시킬 것을 강조하였다. 아들러는 1870년 비엔나에서 태어났다. 자신의 개념 중 제일 중요한 열등감과 우월성 추구라는 개념을 정신건강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1920년대에는 주로 예방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1922년에 아마 처음이라고 할 수 있을 아동생활지도 .. 2023. 2. 8.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1. 프로이트(1856~1939) 성격의 이론적 연구는 19세가 말에서 20세기 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의 발달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현대 성격심리학에서 제일 많은 영향을 미친 사람이고 그의 정신분석 이론은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쳐 왔다. 숨겨진 무의식의 중요함을 강조한 정신분석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종합적이고 이론적인 틀에 따라 설명한 성격 이론이다. 프로이트의 기여로 인해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돕는 상담 및 임상심리학자들의 노력이 휠씬 성공적이게 되었고 인간의 심리적 성숙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프로이트(1856~1939)는 1856년 모라비아(현재는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이베르크에서 태어났다. 그의 명성은 1919년부터 그가 죽은 해인 1939년까지 최고조에 이르렀다. 1.. 2023. 2. 8.
성격발달,심리사회적 요인 ※ 신생아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기질의 차이를 이해하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가정환경의 어떤 요인들이 성격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동이 되어서는 학교 환경이나 청년기에 들어서 심리 사회적 발달과정과 성격 형성의 관계를 이해한다. 1. 기질의 발현과 성격 발달 기질은 유전에 의해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개인의 반응성향을 말하며 인간은 각기 다른 기질을 가지고 태어난다. Thomas와 Chess는 아동의 기질을 다음과 같은 9개의 측면에서 개인차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① 적응성: 새로운 변화에 쉽게 순응하는 정도 ② 기분: 긍정적 혹은 부정적 정서의 비율 ③ 접근: 낯선 사람에 대한 반응 성향이나 새로운 자극 ④ 지속성: 목표 지향적인 활동을 그만두지 않고 지속하는 끈기나 정도 ⑤ 산만성: 외부로 받은 자극에 .. 2023.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