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by drawingAnn 2023. 2. 8.
반응형

1. 프로이트(1856~1939)

성격의 이론적 연구는 19세가 말에서 20세기 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의 발달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현대 성격심리학에서 제일 많은 영향을 미친 사람이고 그의 정신분석 이론은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쳐 왔다. 숨겨진 무의식의 중요함을 강조한 정신분석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종합적이고 이론적인 틀에 따라 설명한 성격 이론이다. 프로이트의 기여로 인해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돕는 상담 및 임상심리학자들의 노력이 휠씬 성공적이게 되었고 인간의 심리적 성숙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프로이트(1856~1939)는 1856년 모라비아(현재는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이베르크에서 태어났다. 그의 명성은 1919년부터 그가 죽은 해인 1939년까지 최고조에 이르렀다. 1920년대 프로이트는 인간의 동기에  근거한 성격 이론과 체계를 발달시켰고, 이러한 이론은 장애를 가지 사람들의 치료기법을 넘어 더 확장되었다.

 

2. 주요 개념

자각의 수준, 본능 이론, 성격의 구조 이론, 불안, 방어기제는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의 주요 개념이다.

 

1) 자각의 수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의 요점은 사람들이 억압하여 무의식에 감춰버린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며 무의식하면 프로이트란 이름을 떠올리는 것이 일반적 현상이다. 그가 지형학적 모델(topographical model)을 통해 구분한 자각의 세 수준은 의식, 전의식, 무의식이다

① 의식(conscious): 개인이 현재 느끼고 있는 생각을 포함한다. 프로이트는 우리가 현재 느끼고 있는 의식은 아주 작은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여 우리가 느끼지 못한 부분이 많다는 것을 강조했다

② 전의식(preconscious):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에 있는 자각이다. 다시 말하면 전의식은 무의식의 한 부분이지만 쉽게 거기에 저장된 생각, 지각, 기억이 의식으로 변화될 수 있는 의식의 아래 부분이다.

③ 무의식(unconscious): 무의식은 정신의 제일 깊은 수준에서 작동되는 것으로 프로이트가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자각의 수준이며 무의식은 자각의 초점이 되는 부분이다.

 

2) 본능 이론

성격의 기본적 요소이고 행동을 진행하고 방향 짓는 동기이며 성격의 주요한 추진력을 추동, 충동으로 여기는 본능 이론이다. 프로이트는 본능을 삶 본능과 죽음 본능으로 나누었다.

① 삶 본능(life instincts): 프로이트가 성격에 있어 제일 중요하게 여겼으며 성(sex)에 관련되고 그것은 단순하게 남녀 간의 성욕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쾌락을 주는 모든 생각이나 행동, 식욕, 성욕을 포함한다.

② 죽음 본능(death instincts): 프로이트가 인생 후반에서 말한 죽음 본능은 그이 이론 중에서 많은 성격 이론가에게 가장 비판을 받는 개념이었으며 삶 본능과 어긋난 개념으로서 공격성이 죽음 본능의 주요한 구성요소이다.

 

3) 성격의 구조 이론

프로이트가 보는 성격의 세 가지 구조적 구성요소는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보았다. 이런 구성요소는 각각 특별한 성질을  가지면서 서로 간의 영향을 주고 기본적으로 쾌락 또는 만족을 추구한다고 보았다.

① 원초아(id): 원초아는 인간 성격의 생물학적 구성요소이며 성격의 가장 원시적인 것으로 모든 본능의 저장소이다. 원초아는 쾌락원리에 의하여 작동하기에 도덕성이나 현실에 대한 생각 없이 쾌락을 추구하고 직접적인 신체적 욕구만족과 관련된다.

② 자아(ego): 성격의 이성적 측면으로 실제적인 면에서 개인이 접하게 되는 현실을 조정하고 인지하면서 현실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인간 성격의 심리적 구성요소이다. 또한 초자아가 이끄는 도덕적인 면을 생각해 규범적이고 합리적인 행동을 위한 조정 역할을 한다.

③ 초자아(superego): 개인이 추구하고자 하는 자아이상과 내적 도덕성인 양심에 의해 작동되는 인간 성격의 구성요소이다. 그러므로 초자아가 작동하는 중요한 원리는 도덕원리이며 도덕적 완성을 추구하는 것이 초자아의 주요한 목적이다.

 

4) 불안

원인에 대한 정확한 대상이 없이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다. 그가 말했던 세 가지 유형의 불안은 현실 불안, 신경증 불안, 도덕 불안이 있다

① 현실 불안(reality anxiety): 실제적인 위험에서 우리를 보호하는데 기여했고 자아가 현실을 알고 깨달아 두려움을 느끼는 불안이다.

② 신경증 불안(neurotic anxiety): 무의식적 불안이며 현실을 생각해 작동하는 본능과 자아에 의해 움직이는 원초아 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이다.

③ 도덕 불안(moral anxiety): 수치와 죄의식을 느끼도록 하고 원초아와 초자아 간의 갈등에서 오는 불안으로 기본적으로 자신의 양심에 대한 두려움이다.

 

5) 방어기제

인간은 기본적으로 불안을 원치 않으며 불안을 넘기고 싶어 한다. 이런 불안을 피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방어적이라고 보았고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억압, 부정, 반동형성, 투사, 퇴행, 전위, 승화, 합리화와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방어기제의 공통점 두 가지는 현실의 왜곡 또는 부정이고, 방어기제는 무의식으로 작동된다는 점이다.

 

3. 성격 평가 기법

프로이트가 성격을 이해하기 위하여 사용한 기법은 자유연상, 꿈 분석, 전이 분석이다.

①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환자가 검사 없이 보고가 이루어지는 시도를 정신분석의 기본 원리이며 마음에 있는 모든 기억이나 생각을 치료자에게 보고하는 기법이다.

② 꿈 분석(dream analysis): 환자의 무의식의 비밀을 알기 위해 사용되었던 중요한 기법이다.

③ 전이 분석(transference analysis): 정신분석에서 치료자의 중요한 일의 하나는 전이를 유도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환자가 자신이 억압되어 무의식 속에 묻어둔 신념, 욕망, 감정을 자기도 모르게 치료자에게 말하는 현상이다. 전이는 이전에 일어났던 일의 반복이며 이전에는 전혀 체험하지 못했고 생각할 수조차 없던 동경과 실행하지 못한 행동 등을 지금에야 처음으로 경험해 볼 수 있는 새로운 관계 체험이다.

 

4. 성격 이론의 적용

중요한 무의식적 자료를 의식으로 가져오는 것이 정신분석의 목표이고, 환자가 무의식적 자료를 회상하여 재해석하도록 하며 환자의 현재 생활이 어느 때보다 만족스럽게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신 분석자의 과업이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역동적 관점,융의 분석심리학  (0) 2023.02.09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0) 2023.02.08
성격발달,심리사회적 요인  (0) 2023.02.07
성격의 평가 및 연구  (0) 2023.02.07
성격의 결정요인-진화,유전,문화  (0) 2023.02.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