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3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에릭슨(Erik H. Erikson, 1902~1994)은 1902년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났다. 에릭슨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체계를 벗어나지 않고 프로이트의 이론을 확장시켰다. 에릭슨이 프로이트의 이론을 확장한 내용은 성격 발달의 본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 사회적 측면을 강조하였고, 에릭슨은 원초아(id)보다 자아(ego)를 더 강조하였다. 그는 자아를 성격의 독립적인 부분으로 보았고 개인의 자아는 부모와 역사적 또는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평생을 통해서 발달하고 성장한다고 믿었으며, 프로이트가 본능을 주로 강조한 반면, 에릭슨은 전체 성격의 형성에 사회, 역사, 문화의 영향을 인식하였다. 그리고 에릭슨은 성격 형성에 과거뿐 아니라 미래도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인간의 성격이 평생을 통.. 2023. 2. 14.
벡의 인지적 성격이론 1. 벡의 인지이론 벡(Aaron Beck, 1921~현재)의 인지이론은 성격과 정신 병리를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인지주의 이론이다. 벡은 우울증을 포함한 다양한 정신장애에 대한 인지이론에 근거하여 성격 이론의 토대가 된 인지치료를 제시했다. 벡의 인지이론은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설명 이론의 구체성과 정교함으로 인해 성격과 정신 병리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 또한 다양한 정신장애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인지치료의 기반을 제시함으로써 커다란 공헌을 했다. 최근에 인지이론은 모든 시스템이 양식(mode)으로서 함께 작동하는 것으로 본다. 양식은 성격을 이루고 진행되는 상황을 해석하는 정서적, 동기적, 인지적, 그리고 행동적 도식의 네트워크이다. 2. 주요 .. 2023. 2. 13.
엘리스의 인지적 접근 엘리스(인지·정서치료의 창시자 1913 ~2007)는 피츠버그(Pittsburgh)에서 태어났다. 최근 들어 심리치료 및 상담 영역에서 '인지'를 강조하는 치료적 입장이 관심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인지행동치료 접근으로 엘리스의 인지-정서-행동치료를 말할 수 있다. 엘리스는 본래 정신분석 훈련을 받고, 정신분석을 도입하였으나 효과성을 느끼지 못해 보다 효과적이며 단기적인 자신의 치료 접근 방식을 개발했다. 엘리스는 우리의 행동이나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인지-정서-행동치료(Rational-Emotive Behavior Therapy: REBT)를 발달시켰다. 인지-정서-행동치료는 여러 번의 발달 과정을 거치게 되었고, 이러한 발달과정 때문에 엘리스는 자신의 상담접근이 최근의 주요한 심리치료 및.. 2023. 2. 12.
켈리의 개인 구성개념 이론 켈리(George Kelly 과학자, 1905 ~1967)는 캔자스주 근처 위치토에서 태어났다. 그는 사람들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개인이 과학자로서 뛰어나게 구성한 인지적 구조를 조사함으로써 가능하다고 믿었고 그가 개발한 인간성의 모델은 사람들이 과학자들이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기능한다는 '과학자로서 인간'이라는 색다른 입장을 밝혔다. 켈리는 인간의 성격을 연구하는 데 인지적 과정을 주장하는 '개인 구성개념(personal construct)' 이론을 내놓았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개인이 자신의 환경에 대한 인지적 구성개념을 창조하며 모든 사람은 자기가 독특한 방식으로 만든 구성개념을 바탕으로 과학자처럼 사건의 예견하고 해석하면서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다. 즉, 개인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2023. 2. 11.